선덕사 귀정사 실상사 인드라망생협 실상사작은학교 (사)한생명 인드라망
자동로그인

2025년 4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생명이 특별한 이유
  글쓴이 : 현미쌀     날짜 : 18-03-14 07:06     조회 : 435    

농사일지&농사일기 / 2018. 3. 12. . 화창 / 생명이 특별한 이유

 

고추모종 돌보기

3차 농장운영위원 회의

묵은 밭 둘러보기(작년 감자밭 등)

목공소에 들러 톱밥 얻기로 함

감자밭에 퇴비 뿌리기(참나무 퇴비)

 

------------------------

 

1. 만남의 기쁨과 괴로움

오늘은 낮엔 의제샘, 태준샘과 함께 밭 여기저기를 둘러보았다. 묵은 밭을 걸으며 밭의 상태도 살피고, 어떻게 정리할지, 무엇을 심을지 이야기했다. 땅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이게 냉이다, 아니다, 곰보배추가 몸에 좋다더라 이런 이야기를 나눴다. 늦은 오후엔 감자밭에 퇴비를 뿌렸다. 맨발로 흙을 밟으며 걸어 다녔는데 흙이 보드랍고 폭신폭신했다. 농장은 오후가 되면 늘 같은 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흙을 밟고 서서 그 바람을 맞으며 샘들과 오른쪽, 왼쪽으로 퇴비를 뿌리는데 마음이 탁 트인 듯 시원하고 기분이 좋았다. 뭐랄까, 바깥 자극에 의한 감각적 즐거움이라기보다 마음속에서 느껴지는 충만감 같달까.

왜 이런 기분이 들까 생각해 보았다. 예전에 좀 힘들었을 때 왜 이렇게 힘든가 생각도 해보고, 사람들이 재밌다는 것들도 해보고, 행복에 관한 책도 찾아 읽고, 상담도 받아보았다. 아주 도움이 안 된 것은 아니지만 그때뿐인 것 같고 근본적인 해결은 안 되는 것 같았다. 상처에 약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 잠깐 진정시키려 반창고 붙이는 느낌? 그런데 밭에 서있는 게 뭐라고 이렇게 편안함을 주는 걸까.

밭에서 일을 하려면 사람과 땅과 바람과 거름과 벌레와 햇빛 등등과 함께 해야 한다. 나는 그것이 기쁨을 느끼게 하는 것 같았다. 뭔가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 함께 하고 있는 기분.

1회 어르신 한글수업을 하는데 할머니들께서 글을 배우고 싶어 하시는 것도 비슷한 이유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 수업을 할 때는 공부에 대한 할머니들의 열의가 이해되지 않았다. 돈과 지식을 모으듯 능력을 더 쌓고 모으려는 것일까-하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한자가 가득한 비석?을 마주하고서는 할머니들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내용이 궁금한데 도저히 읽을 수가 없으니 너무 답답했다. 만나고 싶은 누군가가 있는데 깊은 강이 앞에 있는 듯, 거대한 벽이 가로막고 있는 듯 갑갑했다.

할머니들은 세상에 온통 글이 넘쳐나는데 글자를 모르니 소통이 안 될 때가 많았을 것이다. 얼마나 답답하셨을까. 공부에 대한 열의는 세상과, 다른 존재와 만나고 싶은 열망이었다. 모든 존재들은 더 많은 존재와 만나고 소통하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왜 그럴까? 존재의 본성이 본래 그러하므로 자기 생긴대로? 가려는 자연스러운 현상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방금 믹스커피 한 잔을 원샷했다. 좀 전에는 커피였는데 지금은 내가 되었다. 조금 더 지나면 피와 살이 되고 시간이 더 지나면 일부가 오줌이 되어 다시 나 아닌 것이 될 것이다. 모든 것들은 다른 것들과 계속 만나고 헤어짐을 반복한다. 나 아닌 것이 내가 되었다가 다시 나 아닌 것이 되는 과정의 무한 반복. 이게 모든 존재들의 존재방식인 것이다. 다른 것과 만나지 않는 존재는 없다. 존재의 존재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모든 이들은 더 많은 것들을 만나려고 하는 것 아닐까. 본능보다 더 깊은 욕구로써 그러한 욕망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데 붓다는 대상과의 만남 자체가 라고 했단다. 만남은 기쁨이고 안정감, 편안함, 충만감이라 생각했는데 고라니이해가 되지 않는다.

 

2. 생명이 특별한 이유

얼마 전 하우스 문 여는 것을 깜빡하는 바람에 고추모종 3000주를 쪄죽일 뻔 했다. 생명이 소생하는 이 봄에 많은 생명을 죽일 뻔 했다고 생각하니 아찔했다. 그런데 생명은 왜 죽이면 안 되고 귀하게 여기고 살리려 애써야하는 걸까?

이 질문이 꽤 오래도록 마음에 있었다. 모든 것들은 자세히 보면 분자, 원자 등등의 집합일 뿐이다. 이렇게 모이면 돌이 되고 저렇게 모이면 사람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돌과 사람이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인간이 세상의 많은 것들에 대해 선/, /추의 가치를 매기고 이것은 좋고 저것은 나쁘다- 하듯이 인간중심적인 생각일 뿐 아닌가-했다. 우리가 세뇌당한 그 가치를 벗어버리면 사실 그거나 저거나 똑같지 않을까 싶었다. 그래서 생명을 살리기 위한 운동, 공동체를 위한 활동, 사람을 위한 많은 일들의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사람들은 단지 생명을 살려야 한다, 공동체를 위해야 한다, 사람이 소중하다고 했다. 나는 그 말들이 아무런 이유도 설명하고 있지 않은 것처럼 느껴졌고 동어반복 같았다.

한참을 생각하고 내린 나름의 결론은 (인간을 비롯해서)생명을 가진 것과 아닌 것의 차이는 고통에 대한 감각이 있고 없고-라는 거다. 살아있는 것들은 고통은 느낀다.

그리고 그 괴로움은 때론 삶이나 생명이 차라리 없어졌음 좋겠다는 들 정도로 크기도 한 것 같다. 그 고통을 겪을 때와 덜었을 때의 삶은 천국과 지옥처럼 완전히 다른 세상인 듯하다. 물리적으로는 같은 시공간에 발 딛고 있을지라도. 우리가 삶을 의미 있게 살고 싶다고 한다면 살아있는 것들의 고통을 더는 것만큼 크고 중요한 일이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위해서는 물리적인 상황을 바꾸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것은 쉽지 않고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삶이란 예측할 수 없어서 아무리 애써도 뜻하지 않은 어려움이 닥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보다 가능하고 효율적인 방법은 세상을 보는 관점,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방법을 배우고 갈고 닦기 위한 공부를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공부는 멀고 어렵게 느껴진다. 좀 더 자연스럽게 익히는 방법으로 자연과 함께하는 법, 조금 더 적극적으로는 농사짓는 방법이 그것을 가능하게 할 것 같은데아직 잘은 모르겠다. 다만 느낌적인 느낌^^이 있을 뿐. 앞으로 일을 해나가며 이 생각도 좀 더 곰곰이 해 보고 싶다.


서만억   18-03-14 11:52
저절로 스스로 그러하게 관계하며 변화하는 만물... 만물은 저절로 스스로 그러하게 관계하며 변화한다... 그것이 만물의 근원이며 만물의 실재이다. 현 샘의 글을 읽다, 왕필에게서 받은 느낌이 떠올랐습니다. 저절로 스스로 그러하게 관계하며 변화하는 그 근원성이자 실재성을 본성이라 하든, 덕스러움이라 하든, 도라고 하든... 그것은 우리의 상징일 뿐...!
이름 패스워드 c771333f92

게시물 174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4 농장을 방문한 손님들 현미쌀 03-27 437
143 감자심기 현미쌀 03-27 390
142 봄소풍 현미쌀 03-27 424
141 춘분 현미쌀 03-23 392
140 하루 만에 짓는 생태뒷간 현미쌀 03-23 394
139 고통을 없애는 방법 현미쌀 03-21 425
138 병아리 농장지기의 마음가짐 현미쌀 03-19 406
137 여기에 몸이 있다. 현미쌀 03-18 478
136 내게 삶을 선물하는 방법 현미쌀 03-16 395
135 씨감자 자르기 현미쌀 03-15 627
134 나비야, 안녕? 현미쌀 03-15 401
133 멋있는 어른들 현미쌀 03-15 402
132 생명이 특별한 이유 (1) 현미쌀 03-14 436
131 더러워야 깨끗하다 현미쌀 03-11 380
130 고추모종 돌보기 현미쌀 03-10 474
 1  2  3  4  5  6  7  8  9  10    
(사)한생명 : 55804 남원시 산내면 천왕봉로 806(백일리 508번지) / 전화 063-636-5388 / 팩스 063-636-6388 / 후원계좌 (농협 513160-51-020713 예금주 : 사단법인한생명)
한생명 : hanlife2020@hanmail.net / 여성농업인센터 / 전화 063-636-5399 / 팩스 063-636-5390 / 산내들 어린이집 063-636-5385 / 친환경판매장, 063-636-5387

Warning: Unknown(): write failed: Disk quota exceeded (122) in Unknown on line 0

Warning: Unknown():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files).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save_path is correct (../data/session) in Unknown on li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