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사 귀정사 실상사 인드라망생협 실상사작은학교 (사)한생명 인드라망
자동로그인

2025년 4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고통을 없애는 방법
  글쓴이 : 현미쌀     날짜 : 18-03-21 08:10     조회 : 425    

농사일지&농사일기 / 2018. 3. 19 / 고통을 없애는 방법

 

고추모종 돌보기

영역 농사담당 회의(13)

농장지기 회의(1530)

 

----------------------------------------------

 

어려운 상황 속에서 농장이 세 명 체제?로 다시 꾸려졌다. 변한 상황에 따라 각자 새로이 적응해야 하는 부분이 있고 그에 따른 어려움도 있다. 다들 나름의 어려움을 안고 한 발 한 발 나아가는 중이다. 함께 하는 분들이 힘들어하는 것을 보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마음의 짐을 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생각하게 된다.

지금 붓다학림에서는 사성제, 그 중에서도 첫 번째에 해당하는 고성제에 대해 공부하는 중이다. 가장 중요하게는 무엇이 고통인지, 그러니까 사람들은 어떤 것에 고통을 느끼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고통의 원인, 고통의 종류, 해소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문제를 마주하고 스토리텔링(망상)을 지어내기보다 해결에 집중하게 하는 것 같다. 어떻게 이 괴로움을 없앨 수 있을 것인가?

인간에게는 피할 수 있는 고통이 있고, 피할 수 없는 고통이 있다. 모든 것은 변하기에 생노병사, 만남, 헤어짐 등이 쉼 없이 일어난다. 1)이것 자체가 괴로움이기도 하고 2)이것에 대한 집착이 또한 괴로움을 낳는다. 변화로 인한 괴로움은 그 자체가 세상 돌아가는 원리이자 삶의 이치이기에 없앨 수 없다. 하지만 좋은 걸 붙잡고 싶은 마음/집착에 의한 괴로움은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게 쉽지 않다. 상대에게 당신이 이러저러한 좋은 상을 그리고 있기에 힘든 거다. 거기에 대한 집착을 놓으면 편해질 것이다라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그 말을 하면 오히려 상대방은 더 분노가 치밀 것 같다.

나 자신을 돌아봐도 그렇다. 상대와 갈등이 있을 때 내 의견을 나라고 여기고 그 의견에 집착하기에 괴로운 거다라고 생각은 한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한다고 해서 진짜 마음이 돌아서 지지는 않는 거다. 오히려 상대방과의 갈등 때문에 한 번 힘들고 자책 하면서 또 한 번 힘들어진다.

집착을 놓는 것이 괴로움을 해소하는 궁극적 방법일지는 모르겠지만 현실에서 아직 유용하게 쓰이는 것을 별로 경험해 보지 못했다. 도력 높은 수행자들에게 가능한 고급 기술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오히려 현실에서는 쓰담쓰담이 훨씬 더 효과가 좋다.

우리 농장지기 식구들이 힘들어 할 때 되든 안 되든 같이 짐 지겠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이야기 듣고 함께 길을 찾아보고 위로하는 것이 서로에게 가장 힘이 되는 것 같다. 나의 경우도 실제 문제 해결도 중요하지만 마음을 이해해주고 따뜻하게 말해주는 것이 꽁꽁 얼어서 시리고 아팠던 마음을 녹여주는데 최고였던 것 같다. 예전엔 이것을 상처를 낫게 하는 약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문제해결이 안 되었으므로-) 잠깐 안 아프게 반창고 붙이는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은 이것이야말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지만 해결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이것이 궁극적 해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좀 더 생각하고 찬찬히 정리해 보고 싶다.


이름 패스워드 c678edef48

게시물 174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4 농장을 방문한 손님들 현미쌀 03-27 437
143 감자심기 현미쌀 03-27 390
142 봄소풍 현미쌀 03-27 425
141 춘분 현미쌀 03-23 392
140 하루 만에 짓는 생태뒷간 현미쌀 03-23 394
139 고통을 없애는 방법 현미쌀 03-21 426
138 병아리 농장지기의 마음가짐 현미쌀 03-19 406
137 여기에 몸이 있다. 현미쌀 03-18 478
136 내게 삶을 선물하는 방법 현미쌀 03-16 395
135 씨감자 자르기 현미쌀 03-15 627
134 나비야, 안녕? 현미쌀 03-15 401
133 멋있는 어른들 현미쌀 03-15 402
132 생명이 특별한 이유 (1) 현미쌀 03-14 436
131 더러워야 깨끗하다 현미쌀 03-11 380
130 고추모종 돌보기 현미쌀 03-10 474
 1  2  3  4  5  6  7  8  9  10    
(사)한생명 : 55804 남원시 산내면 천왕봉로 806(백일리 508번지) / 전화 063-636-5388 / 팩스 063-636-6388 / 후원계좌 (농협 513160-51-020713 예금주 : 사단법인한생명)
한생명 : hanlife2020@hanmail.net / 여성농업인센터 / 전화 063-636-5399 / 팩스 063-636-5390 / 산내들 어린이집 063-636-5385 / 친환경판매장, 063-636-5387

Warning: Unknown(): write failed: Disk quota exceeded (122) in Unknown on line 0

Warning: Unknown():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files).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save_path is correct (../data/session) in Unknown on li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