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정사 실상사 선덕사 (사)한생명 실상사작은학교 인드라망생협 우리옷인드라망
자동로그인
 
최근게시물
실상사 작은학교 학교 대…
서버이전공지
마을공동체 활동가 지리…
숲치유 예술제 '귀…
사무처 전화수리 중입니…
생명평화를 실천하는 실…
인드라망생명공동체 홍보…

인드라망 칼럼

  [삶과 인드라망] 도시 텃밭 다시 보기
  글쓴이 : 인드라망     날짜 : 11-11-09 10:40     조회 : 9779    
삶과 인드라망 도시 텃밭 다시 보기

도시텃밭이 우리사회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새로운 희망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골목마다 집집마다 사람들이 텃밭을 통한 감동을 경험하려면 어떤 접근을 하는 것이 좋을까.

가히 폭발적으로 보이는 도시텃밭의 바람은 왜 부는 것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이미 작은 텃밭을 통해 감동을 경험한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우리 마음속에 부족한 부분을 흙, 농업이 채워준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 농사짓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지금은 농사라 하기보다는 체험 수준이다. 체험수준의 도시텃밭을 도시농업이라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텃밭이 우리사회와 도시민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겠다.

첫째, 도시텃밭은 쿠바의 사례처럼 모두가 유기농업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특히 흙을 살리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텃밭은 전국민 생활 속의 실천현장이 되어야 한다. 내가 버리는 음식물이 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이 되어 도시 텃밭 속에서 순환이 되는 생태적 텃밭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도시텃밭은 시민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텃밭을 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의 지원역할이 활성화되어야 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시민 스스로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변화는 시민 스스로가 중심이 되고 지방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에서 일어날 것이다.

셋째, 콘크리트 도시에서 흙살림 운동이 시작되어야 한다. 역설적이지만 도시에서 시민들이 흙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운동이 멀어져야 한다. 매일 밟지 못하는 흙이지만, 흙이 살면 물과 공기와 사람들의 마음을 살릴 수 있음을 알았으면 한다. 텃밭의 흙을 통해 먹을거리와 우리 몸이 건강해진다. 결국 흙을 살리는 활동은 우리의 몸을 살리는 일이다. 내 몸을 살리는 흙에서 작물을 거두면서 자연스럽게 농업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것이다. 이미 이러한 체험을 한 사람들은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넷째, 도시텃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실천자료가 많이 제시되어야 한다. 도시에서 태어나고 도시에서 어른이 된 사람들은 텃밭이 주는 신비로운 경험에 호기심을 갖지만,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른다. 흙을 살리는 것이 무엇인지, 종자를 어떻게 심어야 하는지, 퇴비를 만들어 어떻게 줘야하는지 등 농업에서 쓰는 말도 생소하기만 하다. 도시는 농촌보다 햇빛도 적고, 거름도 적다. 도시에 맞는 농사체계를 정리하고, 방법을 널리 알려야 할 것이다.

다섯째, 도시텃밭이 시민들의 삶에서 더욱 빛이 나려면 공동체 농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한 가족이 3평을 경작하는 방식으로는 체험수준을 벗어나기 어렵다. 지역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텃밭을 가꾸다보면 공동체가 살아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아이들과 청소년들과 노인들이 함께 일군 공동텃밭은 체험과 치유의 장이 된다.

텃밭을 통해 생명, 공동체, 흙의 순환 실천으로 도시에서 상생의 기쁨이 넘치도록 텃밭에 희망의 씨앗을 함께 뿌리자. 글_이태근 인드라망 전문위원 (흙살림 회장)

이름 패스워드 af36a65dcf

게시물 204건
  
[삶과 인드라망] 밝음을 꿈꾸는 마을
[삶과 인드라망]    밝음을 꿈꾸는 마을    밝은마을은 “하늘의 이치에 따라 순리대로 살려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밝은  사람으로 가는 교육 및 수련 체계를 다듬어 보기도 하고, 밝은 공동체로의 모색도 하고 있습니다. 단위 공동체만으로는 삶의 모든 것을 채우기는 부족하다고 …
2012-09-26
[삶과 인드라망] 작은 실천이 더 아름답다
삶과 인드라망   작은 실천이 더 아름답다     사람은 타고난 근기에 따라 말을 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말은 상대적으로 어눌하지만 글이 더 좋은 사람도 있다. 더러는 말과 글이 다 좋은 사람도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말 잘하는 사람이나 글 잘 쓰는 사람보다는 …
2012-09-26
[삶과 인드라망] 명상, 마음의 쉼터 만드는 일
삶과 인드라망    명상, 마음의 쉼 터 만드는 일    전통적으로 스님이나 일부 종교 전문가에 의해 실천되던 명상이 대중화된 지 수 십년이 지났다. 특히 미얀마와 태국에서 대중화되기 시작한 위빠사나를 위시로 한 불교명상이 서양인들에 의해 행동의학 처치방법으로 임상적으로 도입…
2012-08-02
[삶과 인드라망] 탈핵, 과학, 그리고 삶의 지혜
삶과 인드라망     탈핵, 과학, 그리고 삶의 지혜     과학문명의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과학에 대한 신뢰는 종교에 가깝다. 이는 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편리함과 더불어 꿈으로나 생각하던 많은 것들을 실제로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실현시켜주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비과학…
2012-08-02
[삶과 인드라망 ] 사람이 사는 집과 새가 사는 집
삶과 인드라망 사람이 사는 집과 새가 사는 집   조치원 서당골에 귀틀집을 짓고 산 지 13년째다. 그 사이 꼬맹이 아이들은 어엿한 청년이 되었다. “자연이 최고의 교과서”라는 우리의 믿음처럼 아이들은 잘 자랐다. 몸도 건강, 마음도 건강하게 잘 커주어 아내와 나는 고맙게 여긴다.  …
2012-06-05
[삶과 인드라망] 만남과 이별의 수행
  삶과 인드라망   만남과 이별의 수행    내가 몸담고 있는 한알학교는 남한강변의 작은 마을에 있다. 요즘 남한강변은 온통 초록빛이 짙어 가고 있다. 감자파종이 끝난 우리 마을은 지금은 한미한 농촌이지만 옛날엔 작은 나루터가 있어 충청도와 경기도로 가는 사람들이 북적대던 곳이다.…
2012-06-05
[삶과 인드라망] 일상 속에서 만나는 자신의 마음
[삶과 인드라망 ]   일상 속에서 만나는 자신의 마음    오늘 하루 종일 여의도에 있는 어느 사무실에 나가 전공과 관련된 일을 하다가 돌아왔다. 출근길부터 예사롭지 않아 전철 환승역에서 조금 무리하게 차에 오르려다가 가방이 끼는 작은 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다행히 곧 문이 다시…
2012-03-30
[삶과 인드라망] 종말론적 삶
[삶과 인드라망] 종말론적 삶     요즘 심심찮게 지구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그동안 종말론은 늘 있어 왔다. 그리고 모두 해프닝으로 끝났다.   종말론은 종교적 신념이나 점성술, 예언의 적중률이 높다고 알려진 노스트라다무스 같은 사람의 예언에 근거한 것이 대부분이…
2012-02-27
[삶과 인드라망] 중생교화의 한 방편, 불교미술
중생교화의 한 방편, 불교미술    부처님 열반 후 불교가 발생한 고대 인도의 가장 중요한 신앙 대상은, 바로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불탑(佛塔)이었다. 부처님의 모습을 인간 모습으로 나타낸 불상(佛像)은 불탑 건립 이후 500년이 지난 후에 등장했으니, 모든 불교미술의 탄생은 탑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
2012-02-07
[신년 인사] 인드라망 가족들에게 새해 평화의 인사를 전합니다.
인드라망 가족들에게 새해 평화의 인사를 전합니다   임진년(壬辰年) 새해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 인드라망 가족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신년을 맞아 인드라망을 이끌어가는 9명의 공동대표들에게 회원들에게 등불이 되어 줄 따뜻한 새해인사를 부탁드렸습니다.       불방일(不放…
2012-01-11
[삶과 인드라망] 4대강 사업의 진실
4대강 사업의 진실 참 말도 많고 사연도 많았지만, 결국 4대강 사업은 완공을 앞두고 있다. 환경을 전공으로 하는 한 사람으로서 4대강 사업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우선 21세기 우리 시대에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과 잘못된 역사 또한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환경전문가로서 과학적 진실도 많은 …
2011-12-05
[삶과 인드라망] 도시 텃밭 다시 보기
삶과 인드라망 도시 텃밭 다시 보기 도시텃밭이 우리사회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새로운 희망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골목마다 집집마다 사람들이 텃밭을 통한 감동을 경험하려면 어떤 접근을 하는 것이 좋을까. 가히 폭발적으로 보이는 도시텃밭의 바람은 왜 부는 …
2011-11-09
[삶과 인드라망] 법정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
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 "죽음이 어느 때 우리를 찾아올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죽음이 언제 어디서 우리 이름을 부를지라도 “네” 하고 선뜻 일어설 준비만은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육신을 70, 80년 끌고 다니면 부품 교체가 아니라 폐차 처분할 때가 있다.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육신의 죽음을 …
2011-09-27
[삶과 인드라망] 제주 강정마을과 생명평화
제주 강정마을과 생명 평화 제주 일강정이라 부르는 마을 앞의 구럼비 해안은 볼 때마다 신비로운 기운이 느껴지는 곳이다. 바위들로 이루어진 모습이며 그 끝에서 솟아오르는 한라산 용천수며 구럼비 바위에 부서지는 파도며 그 바다의 맑고 푸른 물빛, 그 모든 것들이 아름다움과 장엄함과 신비로움을 느끼게 한다. …
2011-09-01
[삶과 인드라망] 4대강 사업은 재앙이다
4대강 사업은 재앙이다 올해 4대강 공사 낙동강 구역에서만 6건의 대형사고가 터졌다. 공사용 임시 교량이 붕괴됐다. 이어서 6월25일에는 완공 100년이 넘도록 집중호우에도 여전하였던 경북 칠곡군 '호국의 다리'(옛 왜관철교)의 교각이 무너졌다. 같은 날 상주시 중동면 상주보 건설현장에서는 둑 150m가 붕괴됐다. 이…
2011-08-08
 1  2  3  4  5  6  7  8  9  10    

Warning: Unknown(): write failed: Disk quota exceeded (122) in Unknown on line 0

Warning: Unknown():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files).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save_path is correct (../data/session) in Unknown on li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