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정사 실상사 선덕사 (사)한생명 실상사작은학교 인드라망생협 우리옷인드라망
자동로그인
최근게시물
실상사 작은학교 학교 대…
서버이전공지
마을공동체 활동가 지리…
숲치유 예술제 '귀…
사무처 전화수리 중입니…
생명평화를 실천하는 실…
인드라망생명공동체 홍보…

가을배추
 
2011 텃밭 개장 ~ ^…
 
2011 텃밭정비 1차 …
 
09년 텃밭 개장 했…

텃밭모임

   
  [농촌진흥청]주간농사정보(6/14-6/20)
  글쓴이 : 의왕댁     날짜 : 09-06-15 08:19     조회 : 2400    
   주간농사정보제25호.hwp (116.5K), Down : 17, 2009-06-15 08:33:34

1. 벼 농 사 

 가. 본 논 관리

  ○ 장마가 시작되면 햇빛 쪼임이 부족하여 벼가 연약하게 자라게 되므로 새끼칠거름은 제때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고 이음거름은 주지 않도록 한다.

  ○ 늦게 모내기 한 논에 새끼칠거름을 주면 장마기에 웃자라서 잎도열병 등 병해충에 잘 걸리게 되므로 주지 않도록 한다.

  ○ 일찍 모를 내어 참 새끼가 충분히 확보된 논과 직파재배 논은 장마철이라도 중간물떼기를 잘하여 뿌리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한다.

  ○ 논두렁과 하천 제방을 확인하여 호우에 무너질 우려가 있을 때는 미리 보수하도록 하고, 배수로의 풀 등을 제거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준다.

  ○ 집중호우로 벼가 물에 잠길 경우에는 벼 잎이 물위에 나올 수 있도록 속히 물을 빼 주도록 하며, 물이 완전히 빠진 후에는 새물로 갈아주어 벼 뿌리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하고, 벼 잎에 상처가 많아 도열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방제하도록 한다.


 나. 잎도열병 방제

  ○ 장마철에는 잎 도열병 발생에 좋은 조건이 되고, 발병되었을 때 방제를 소홀히 하면 병이 급속히 퍼져 나가 피해가 크게 되므로 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 도열병에 약한 품종이나 거름기가 많아 잎 색이 진하고 잎이 늘어지는 논은 병이 발생되기 전(6월 하순~7월 상순)에 약효 지속기간이 긴 침투이행성 약제를 선택하여 예방 위주로 뿌리도록 한다.

  ○ 이미 잎도열병이 발생하여 병 무늬가 1~2개 보이기 시작하는 포장은 치료 효과가 있는 수화제나 유제로 초기에 방제한다.


 다. 시비 관리

 ▶ 질소 비료를 알맞게 주면 쌀 품질이 좋아지고 병해충 발생이 적어지며 도복 발생도 줄어든다.

  ○ 질소시비량이 많으면 완전미 비율이 낮아지고, 쌀의 투명도가 떨어지며, 병해충과 도복이 많이 발생되고,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져 밥맛과 미질이 떨어짐

  ○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시비처방서에 의하여 비료를 주되 보통논의 질소비료 시용기준은 9kg/10a임

    - 밑거름(5kg/10a)-새끼칠거름(2kg)-이삭거름(2kg)

   ※ 탑라이스 : 7kg/10a(밑거름3.5-새끼칠거름2.1-이삭거름1.4)


<일반재배에서의 알맞은 시비 비율(성분량, 10a 기준)

구               분

밑거름

웃  거  름

새끼칠거름

이삭거름

평야지논

중간지논

보통논

미숙논

제때모내기

늦모내기

  9kg

8

   5 kg

6

  2kg

-

  2kg

2

모래논, 고논

9

5

2

2

중산간 및 냉조풍지논

산 간 고 냉 지 논

만  기 재 배  논

9

9

9

5

7

7

2

2

-

2

-

2

염      해       논

11

3

2회(2, 2)

2회(2, 2)

     인               산

4.5

4.5

-

-

     칼               리

5.7

4.0

-

1.7


 ▶ 비료는 알맞은 시기에 주어야 고품질의 쌀을 생산할 수 있다.

  ○ 새끼칠거름은 모내기 후 12∼14일경에 주고, 이음거름 절대 금지

    - 이음거름을 주면 헛새끼치기를 많이 하여 벼가 연약해지고 잎도열병 등에 걸리기 쉬우며, 벼 키가 크게 되어 쓰러지기 쉬움

  ○ 이삭거름은 잎색을 보아 이삭패기 전 25일경에 질소와 칼리비료를 줌

    - 볏대를 갈라보아 어린이삭 크기가 1~1.5㎜때 가장 좋음

    - 적정한 이삭거름 시비량 : 질소 2kg/10a + 칼리 1.5~2.0kg

                               N-K 복합비료 11~12kg/10a

   ※ 잎 색이 짙은 논, 잎 도열병이 심한 논은 칼리질 비료만 줌

 라. 잡초 방제

 ▶ 발생양상

 ○ 일년생잡초 60%, 다년생잡초 40% 정도 발생

  - 일년생잡초는 물달개비가 가장 높게 우점

  - 다년생잡초는 올방개와 벗풀이 주로 우점

 ▶ 방제체계

  ○ 잡초 발생이 적은 논, 피 등 일년생잡초가 많이 자라는 논은 초기처리제 1회 방제

  ○ 피 등 일년생잡초와 올방개 등 다년생잡초가 많이 자라는 논은 초․중기 방제와 중기방제

  ○ 올방개 등 다년생잡초가 많이 자라는 논은 모내기전 초기방제와 중․후기(괴경 형성 억제)방제


   

[기타 서비스]  포인트 순위 공개  |  최근 게시물  |  최근 코멘트  |  끝말 잇기 놀이  |  퀴즈 or 설문조사

Warning: Unknown(): write failed: Disk quota exceeded (122) in Unknown on line 0

Warning: Unknown():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files).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save_path is correct (../data/session) in Unknown on line 0